top of page

News

Cho Yong-Ik, 1934–2023

2024. 07. 12

[ARTASIAPACIFIC BY CHERYL KWAN]


7월 2일, 1세대 단색화가 조용익이 향년 89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한국 추상미술의 선구자 중 한 명인 조용익은 다채로운 기하학적 구성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단색화 운동.

1934년 함경남도 북청에서 태어난 조씨는 6·25전쟁 이후 서울로 이주했다. 그는 서울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하고 모더니스트 화가 김병기에게서 사사받았다. 조 작가는 1958년 서울에서 열린 미술협회 주최 제4회 '현대전'에 출품하며 앵포르멜 미술 활동을 시작했고, 1960년대에는 1961년 파리 비엔날레, 상파울루 비엔날레 등 국제전에 참여하면서 인지도를 얻었다. 그 후 1974년부터 1992년까지 거의 20년 동안 조씨는 추계예술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 1977년부터 1983년까지 한국미술협회 부이사를 역임했다. 앵포르멜 운동을 주도한 현대미술가협회의 창립 멤버는 아니었지만, 조씨는 재현미술과 같은 전통적인 미술 관행에 반항하고 추상화로 전환했다.

1970년대, 전후 한국의 격동적인 사회정치적 환경 속에서 조는 조선왕조의 정체성과 유산을 되찾고 영성과 다시 연결되기를 열망했던 예술가들이 시작한 단색화 운동의 초기 참여자 중 한 명이었습니다. 조씨는 불교, 도교, 유교의 사상이 혼합된 단색화의 철학적 기반에서 벗어나, 재료의 사용이나 단색조를 중시하는 사조의 스타일과 접근법을 엄격히 고수하지 않았다. 그러나 동료들과는 달리 조는 명상적인 구성을 통해 색상과 질감을 더 많이 실험했습니다. 예를 들어, 1970년대 한국 도자기에서 영감을 받은 스크래치 시리즈의 경우 엄지 손가락을 사용하여 윗부분의 물감을 제거하여 바탕색을 드러냈습니다. 이 그림을 통해 조는 단색 배경에 격자 형태로 질서정연한 표시를 묘사하는 작품을 통해 이 시기의 기하학적 추상을 탐구했습니다.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조 작가는 따뜻한 색감과 넓은 질감의 획이 캔버스에 파도처럼 반복되는 단색 회화를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Wave) 시리즈를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1990년대에는 무채색 배경에 대나무를 반복적으로 모티브로 삼고 다양한 톤을 사용하여 질감이 있고 입체적인 대나무를 만드는 Bamboo 시리즈 도 등장했습니다 . 조씨는 1990년대 이후 미술 활동을 중단했으나 2016년 성곡미술관에서 대규모 회고전을 갖고 돌아왔다. 그의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 광주시립미술관 등 국내 여러 기관에 소장되어 있다.

조씨는 2016년 아트아시아퍼시픽(ArtAsiaPacific) 과의 인터뷰에서 “사람들이 나를 정직한 예술가로 기억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조씨는 서울대 재학 시절 자신의 멘토였던 김씨에게 영감을 받아 트렌드를 따르기보다 '독립'과 '자신만의 아이디어를 내놓는 것'을 핵심 철학으로 삼았다. 이는 수년에 걸쳐 그의 작업을 형성했으며 결국 한국의 가장 중요한 추상 예술가 중 한 명으로서 그의 창조적 유산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On July 2, South Korean artist Cho Yong-Ik, a first-generation Dansaekhwa painter, died at the age of 89. One of the pioneers of Korean abstract art, Cho is best known for his colorful geometric compositions, which pushed the boundaries of the Dansaekhwa movement.

Born in Pukchong, South Hamgyong Province in 1934, Cho moved to Seoul following the Korean War. He attended the department of painting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was trained under modernist painter Kim Byung-ki. Cho started his career in Informel art, exhibiting at the fourth “Contemporary Exhibition” organized by Artists Association in Seoul in 1958 and gained recognition in the 1960s, when he started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exhibitions such as the Paris Biennale in 1961 and the São Paulo Biennale in 1967. Then for nearly two decades from 1974 to 1992, Cho was a professor at Chugye University for the Arts; and from 1977 to 1983, he served as the vice executive director of the Korean Fine Arts Association. While he was not a founding member of the Association of Contemporary Artists who led the Informel movement, Cho rebelled against conventional artistic practices like representational art and turned to abstraction.

During the 1970s, under the turbulent sociopolitical climate in postwar South Korea, Cho was one of the early participants of the Dansaekhwa movement, initiated by artists who were eager to reclaim their identity and heritage of the Joseon Dynasty and reconnect with spirituality. Departing from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Dansaekhwa—a blend of thoughts from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Cho did not strictly adhere to the style and approach of the movement that often focused on the use of materials or the monochromatic tone. Unlike his peers, however, Cho experimented more with colors and textures through his meditative compositions. For example, for his Scratch series inspired by Korean pottery in the 1970s, he used his thumb to remove the top layer of paint to reveal the undertones. With these paintings, Cho explored geometric abstraction in this period, through works that depict orderly markings in the form of a grid against monochromatic backgrounds.

Entering the 1980s, Cho started creating Wave series, which features monochromatic paintings characterized by their warm colors and wide, textured strokes that create a wave-like repetition on the canva. In the 1990s, he also came up with Bamboo series, which features the recurring motif of bamboo against a neutral-colored background and uses different tones to create textured, seemingly three-dimensional bamboo. Cho took a hiatus from art after the 1990s but returned in 2016 with a major retrospective at Sungkok Art Museum. His works are collected by multiple institutions in Korea, such as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 Seoul and the Gwangju Museum of Art.

In an interview with ArtAsiaPacific in 2016, Cho said, “I want people to remember me as an honest artist.” Inspired by his own mentor Kim when studying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ho’s core philosophy was to “stay independent” and “bring out your own ideas” instead of following trends. This has shaped his practice throughout the years and eventually became part of his creative legacy as one of South Korea’s most important abstract artists. https://artasiapacific.com/news/cho-yong-ik-1934-2023

bottom of page